■ centos-7 다운받기
https://www.centos.org/download/ 로 이동
7-2009 아래 x86_64 클릭
mirror에서 kaist 정도 클릭
(예) 만일 kaist를 활용해본다면 (ftp: file transfer protocol, 규약)
http://ftp.kaist.ac.kr/CentOS/7.9.xxxxx/isos/x86_64 등을 클릭하여
CentOS-7x86_64-Minimal-2009.iso (이건 나중에 받음)
or
CentOS-7x86_64-DVD-2009.iso (2020-Nov) 등을 다운
■ Virtualbox 다운받기
위의 url로 이동한 다음 왼쪽 메뉴에서 Downloads - VirtualBox older builds - VirtualBox6.1 (active maintenance)
윈도우가 host이므로 "windows hosts"를 클릭
VirtualBox-6.1.44...-...-Win.exe 다운됨
(참고)
위의 url로 이동한 다음 [Download ...7....버전] 글씨가 있는 그림 클릭
윈도우가 host이므로 "windows hosts"를 클릭
VirtualBox-7.0.9.x...-...-Win.exe 다운됨
# 다운받은 vbox를 설치한다
# 계속해서 next-install-finish 하면 된다
■ virtualbox(by Oracle Tool)를 통해 centos-7 리눅스 OS를 윈도우에 설치하기
가상머신을 새로 생성한다
(리눅스 full 버전 및 minimal 버전 중복 설치 시에도 vbox에서 이름은 다르게, 아래 내용은 같게 중복설치 가능)
* vbox를 가동한 후 vbox의 (좌상 또는) 중상에 있는 [새로만들기] 버튼 클릭
* 이름에는 contos7 머신 폴더는 그대로
* 종류는 linux, 버전은 red-hat(64bit)를 선택한다
* 다음 추천 메모리 2048 - 다음 - 지금 새 가상 디스크 만들기 선택 - 만들기 - (동적할당) - 다음(고정크기)
* 30GB로 변경 - 만들기
(참고) 고정크기는 약간 시간 걸림 - 실행시는 빠름
(참고)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컴퓨터 속에 가상 컴퓨터를 만드는 기술
pc컴퓨터(dummy terminal) -- 접속 -- unix server(emulator)
* 첫번찌 VDI - (고정크기 선택 - 다음)
* 동적할당 - 다음
* 우상 노란색 폴더를 눌러 VDI가 생성될 폴더 설정함
(폴더 예: D:\vbox_centos7\centos7.vdi 방법으로 - D드라이브로 가서 새폴더 눌러 vbox_centos7 만들고) - 저장
■ 환경설정
상단의 설정 클릭
왼쪽 "저장소" 탭 클릭
컨트롤러 IDE의 바로 위 CD 그림에 +가 그려진 광학드라이브 추가 "아이콘" 클릭
디스크 선택하기 한 후 - 상단추가 아이콘
다운받은 centos7을 찾아 선택
* 왼쪽 메뉴에서 네트워크 눌러보고 일단 네트워크는 NAT로 유지
(만일 host 전용으로 할 경우 왼쪽의 네트워크 탭 선택 후 어댑터1(가상먼신의 랜카드 역할) - 일단 host 전용어댑터 선택)
* 확인 클릭
(참고) NAT bridge host-only
■ centos7 가동 시작하기
vbox 처음 화면의 왼쪽 탭에서 contos7 - 마우스 우클릭 - 시작 - 일반시작
* "가상머신의 ..세션을 열 수 없습니다" 에러 발생 시 업데이트
<에러발생 시>
도움말 - virtual box정보를 눌러 버전 확인(예:6.0.4)
extension pack을 다운하기 위해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버전이 없으면 중간쯤에 있는 VirtualBox order builds를 눌러 찾아간다
vbox의 파일 - 환경설정 - 확장을 눌러 설치된 버전을 확인한 후
상위버전이 설치되어 있으면 우측 삭제버튼을 눌러 삭제하고
아니면 우측 추가버튼을 누른다음 설치 버튼을 누른다
확인 클릭
■ 마우스, 키보드 잡기
설정을 하면 기존 윈도우 관련 마우스 작업 시 하얀 마우스 커서가 작동
shift + ctrl을 누르면 멈춰있던 리눅스 검정 마우스 아이콘을 잡아서 리눅스 안에서 작업
다시 shift+ctrl을 누르면 리눅스 검정 마우스 아이콘과 분리되어 하얀 마우스는 자유롭게 윈도우에서 작업
파일 - 환경설정 - 입력 - 가상머신 아래 "호스트키 조합"에서 커서를 단축키 부분에 놓은 후
(상단 중간의 환경설정 - 입력 - 가상머신 탭)에서 호스트키에서 현재키 값 부분을 클릭한 후
shift+ctrl(or ctrl+alt)키를 동시에 눌러 shift+ctrl(or ctrl+alt)로 변경시킨다
(마우스 잡기 관련 메시지박스가 나오면 "이 메시지 다음에 표시하지 않기"를 누른다)
(참고) 만일 설치 진행중 중간저장하고 그 다음날 다시 시작했을 때 리눅스 마우스(검정마우스)가 안 보이면 리눅스를 전원끄기한 후 다시 시작
가상머신 가동 후 추가 설정하기
(참고)
ctrl + alt 할 때마다 흰마우스(윈도우)는 보이지만 검정마우스(리눅스)가 안 보인다면
파일 - 닫기 - 시스템 종료 후
설정 - 시스템에서 마우스를 ps/2에서 usb 태블릿으로 변경한다
■ 환경설정 2
□ 언어선택
언어선택은 한국어 선택 후 [계속진행] 클릭
□ 소프트웨어 선택
소프트웨어 선택을 누른 후 맨 아래 [개발 및 창조를 위한 워크 스테이션]을 클릭 후 [완료] 버튼 클릭
* minimal일 경우는 무조건 최소설치이므로 누르지 않는다
□ 네트워크 및 호스트 명
네트워크 및 호스트 명을 클릭 후 오른쪽의 '끔'을 '켬'으로 변경 후 상단 완료 버튼 클릭
설치대상 클릭 - 하드디스크 두번 눌러 파란색 체크표시 확인 후
아래 '파티션을 설정합니다'를 체크 후 상단 '완료' 버튼 클릭
수동으로 파티션 설정
중간부분을 표준파티션으로 변경 후
아래 +기호를 눌러 마운트지점에는 swap, 용량은 2G를 입력 후 마운트 지점 추가 버튼을 클릭
+기호를 눌러 마운트지점에는 /, 탭클릭, 용량은 빈칸으로 두고 마운트 지점추가 버튼을 클릭 후 상단 완료 버튼 클릭
변경사항 적용 버튼 클릭
아래 설치시작 버튼 클릭, 설치가 진행되는 것을 확인한 후 root 암호를 설정한다
□ 설치시작 후 계정 관련
1234 입력 후 완료 2번 (암호는 아무거나 상관없음)
암호가 취약일 때는 상단 완료 버튼을 2번 클릭하면 된다
필요 시 사용자 생성 클릭
입력 칸 모두 ondal을 4번 입력 후 상단 완료 클릭
암호가 취약일 때는 상단 완료 버튼을 2번 클릭하면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버튼 클릭 후 기다린다
[minimal이 아닌 경우 아래의 추가 작업]
라이센스 정보 클릭, 약관에 동의합니다 클릭 후 완료
네트워크 설정 '켬' 확인 - 완료
우측 아래 설정완료 클릭
ondal(centos) - '목록에 없습니다' 클릭
사용자 이름에 root 입력
앞에 입력했던 암호 입력 - 로그인
gnom 화면(GUI) (x-window)에서 잠시 기다린후 환영합니다 나오면
한국어 선택된 것 확인 후 다음 클릭
입력화면에서 맨 위 한국어(Hangul) 선택 후 - 다음
개인정보는 (끔 - 켬) 선택 후 다음
온라인 계정연결은 건너뛰기
준비됐습니다 나오면 "CentOS Linux 시작(S)" 클릭
■ 서버 종료하기
우측 상단에 전원 스위치 버튼 클릭
root 클릭하면 펼친 메뉴가 뜬다
다시 한번 맨아래 전원 스위치 버튼 클릭
컴퓨터 끄기 클릭
(참고) 중간, 혹은 다 완료해서 리눅스 닫을 때
파일 - 닫기 - (1) 상태 저장하기, (2) 시스템 전원끄기
* window에서는 cmd가 dos 모드
* 리눅스에서는 prompt가 출력 # or $
* # : root 프롬프트
* $ : 일반 user
'IT&코딩 > 국비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4 (실습) (0) | 2023.08.17 |
---|---|
리눅스 - 3 (tera term 사용) (0) | 2023.08.17 |
JDBC (0) | 2023.08.09 |
스프링 - 2 (1) | 2023.07.12 |
형상관리 (0) | 202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