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함수 심화
# 1. 함수 (None)
# 2. 괄호
# 3. mutable(변형가능) (li, set, dict)
# 4. immutable(변형불가능) (int, str, tuple, bool)
# 5. print 함수는 어떻게 생겨먹었지?
# 1. 함수
def 메뉴출력():
print("===")
메뉴출력() # 반환값, 기능구현, 반환값 중, 기능만 남은 함수.
print(메뉴출력()) # 아무것도 안 남으니까 (return이 없으니까)
x=메뉴출력() # None이 x에 담긴다.
print(x)
li=[]
print(li.append(4)) # 여기도 반환되는 값이 없기 때문에 None이 나온다
print(li)
# 2. 괄호
li=[]
print(li.clear()) # 괄호를 쳐야 실행된다.
# 3. 변형가능의 의미
# 4. 변형불가능의 의미
def 플러스():
A=30
A=10
플러스()
print(A) # 변경 불가능한 자료
# 5. print 함수는 어떻게 생겨먹었지?
# print 함수는 어떻게 여러값을 받을까?
# print() # 커서를 대면 함수설명 중에 * 표시가 있다.
def p(*a): # *로 받는다는 것은 tuple로 받겠다는 의미.
print(a)
p(1,1,1,1,1,1,1,1,1,1,1,1,1,1,) # 튜플로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 default 값 어떻게 했을까?
def 합(a,b):
return a+b
print(합(1,2))
# default 값을 주고 싶으면
def 합(a=10,b=20):
return a+b
print(합())
# default 값을 변형시키려면
def 합(a=10,b=20):
return a+b
print(합(a=30,b=100))
# 단 비울거면 오른쪽부터 default값을 채워줘야 한다는 약속이 있다.
# def p(*values, end="\n", sep=" "):
728x90
반응형
'IT&코딩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확률 미세조정 (0) | 2022.09.13 |
---|---|
python - 함수의 간결성을 이용한 프로그램 (0) | 2022.09.13 |
python 4주차 복습-4 (0) | 2022.08.01 |
python 4주차 복습-3 (0) | 2022.07.31 |
python 4주차 복습-3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