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키지
자바에서 이야기하는 패키지는 서로 관련있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을 의미하며, 일종의 Library라고 할 수 있다.
이클립스는 자동으로 컴파일이 되기 때문에 상관없지만 원래 패키지를 컴파일 할 때는
대충 이런 경로를 통해 실행된다.
□ 패키지 선언 방법
패키지(package) 선언은 주석문을 제외하고 반드시 소스파일의 첫 줄에 와야 한다.
- package 패키지경로명;
□ 패키지 사용법
- import [패키지경로.클래스명]; 또는 import [패키지경로.*];
□패키지 컴파일 방법
package mypack.pack;
public class MyPackOne {
public void one() {
System.out.println("MyPackOne클래스의 one메소드");
}
}
package mypack.pack;
public class MyPackTwo {
public void two() {
System.out.println("MyPackTwo클래스의 two메소드");
}
}
package jun.java.exam03;
import mypack.pack.MyPackOne;
import mypack.pack.MyPackTwo;
public class MyPack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PackOne myOne = new MyPackOne();
myOne.one();
MyPackTwo myTwo = new MyPackTwo();
myTwo.two();
}
}
■ static import문
JDK5.0 이전에서는 상수 또는 static으로 선언된 것들을 사용하려면 해당 [클래스명.상수]등으로 접근해 왔었다.
하지만 JDK5.0에서부터는 static import를 사용하여 보다 쉽고 빠르게 static 상수 또는 메소드 등을 호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작성된 소스분석이 조금 어려워졌다는 단점도 있다.
- import static [패키지경로.클래스명.*];
- import static [패키지경로.클래스명.상수필드명];
package jun.java.exam04;
import static java.lang.Math.*;
import static java.lang.System.out;
public class StaticImp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int)(random()*26 + 65);
out.println((char)i);
}
}
■ 예외처리
1. 프로그램 오류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어떤 원인에 의해서 오작동을 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오류라고 함.
- 컴파일 에러 : 컴파일시 발생하는 에러 (논리의 문제)
- 런타임 에러 : 실행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특수한 상황이나 환경)
컴파일러는 문법적인 오류만 인식할 수 있음
자바에서는 런타임에러는 에러(Error)와 예외(Exception)으로 구분함
예외도 컴파일 예외와 런타임 예외가 있다.
오류(Error) : 일반적으로 오류는 코드에 의해서 수습할 수 없는 심각한 것을 말한다. ex) 정전
2. 예외(Exception)가 일어나는 상황
- 정수를 0으로 나누는 경우
- 배열의 index값이 음수값을 가지거나 크기를 벗어나는 경우
- 부적절한 형변환
- 입출력시 interrupt가 나타나는 경우
- 입출력하기 위한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 메서드 호출시
3. 예외처리의 목적
예외가 발생하면 JVM을 프로그램을 꺼버린다.
예외의 발생으로 인한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갑작스러운 비정상 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4. 예외처리 구문 (try ~ catch)
try - 1
catch - 2
catch - 3
finally - 4
1 ~ 3에서 나오면 4번 실행하고 끝. 2번에서 나오면 2번 수행, 그리고 4번은 예외가 나오더라도 실행
□ 아래의 예제 -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 문법상의 오류가 없기 때문에 컴파일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
- 실행중에 정수를 0으로 나눌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익셉션 발생
package jun.java.exam05;
public class Excpetion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50;
int result = 0;
for(int i=0; i<10; i++) {
result = number / (int)(Math.random() * 5);
System.out.println(result);
}
}
}
확률적으로 예외가 발생한다.
□ 예외처리
package jun.java.exam06;
public class Exception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50;
int result = 0;
for(int i=0; i<10; i++) {
try {
result = number / (int)(Math.random() * 5);
System.out.println(result); // 예외가 발생하면 실행 X
} catch (ArithmeticException e) {
// ArithmeticException이 발생하면 수행된다.
System.out.println("Excpeiton 발생");
} // try - catch의 마지막
} // for의 마지막
}
}
<결과>
50
Excpeiton 발생
50
16
Excpeiton 발생
Excpeiton 발생
12
25
12
Excpeiton 발생
□ 예외처리 구문의 실행순서
package jun.java.exam07;
public class ExceptionEx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try {
System.out.println(3);
System.out.println(4);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5);
} // try - catch의 끝
System.out.println(6);
} // main 메서드의 끝
}
<결과>
1
2
3
4
6
□ 예외처리 구문의 실행순서 : finally의 필요성
package jun.java.exam08;
public class ExceptionEx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try {
System.out.println(3);
// ArithmeticException을 발생시킨다.
System.out.println(0/0);
System.out.println(4);
} catch (ArithmeticException ae) {
System.out.println(5);
} // try - catch의 끝
System.out.println(6);
} // main 메서드의 끝
}
<결과>
1
2
3
5
6
4가 실행되지 않는다. 즉 예외가 발생하면 그 밑이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행되지 않는 부분이 중요하다면 finally로 보내줘야 한다.
5. Runtime 익셉션과 그 외의 익셉션
runtime 익셉션은 컴파일시 에러 발생하지 않음
그 외 익셉션은 컴파일시 에러 발생함
예외처리 관련된 3가지 방법
① throw 예외발생
예외를 강제로 만든다. 내가 종료를 시키고 싶을 때.
② throws 예외전가
나중에 해결한다는 의미
③ try ~ catch ~ finally
6. 예외의 강제 발생 : throw 예약어
package jun.java.exam09;
public class ExceptionEx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ow new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
-> 런타임 에러가 발생
□ 예외처리 순서 : 다중 catch문
- 다중 catch문에서는 하위클래스 -> 상위클래스 순서로 예외처리를 해야 함 (다형성)
package jun.java.exam10;
public class ExceptionEx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try {
System.out.println(3);
// ArithmeticException을 발생시킨다.
System.out.println(0/0);
System.out.println(4); // 실행되지 않는다.
} catch (ArithmeticException ae) {
if (ae instanceof ArithmeticException)
System.out.println("true");
System.out.println("ArithmeticException");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xcpetion");
} // try - catch의 끝
System.out.println(6);
} // main 메서드의 끝
}
<결과>
1
2
3
true
ArithmeticException
6
Exception e가 더 위에 있으면 거기서 다 걸리기 때문에 ArithmeticException 보다 밑에 위치해야 한다.
□ finally를 포함한 예외처리
package jun.java.exam11;
public class ExceptionEx7 {
int[] ss;
public ExceptionEx7() {
ss = new int[3]; // 속성(멤버필드) 초기화
}
public void program() {
for(int i=0; i<ss.length; i++) {
System.out.println("for문의 시작 " + i + "번째");
try {
System.out.println(ss[i]);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xception 발생 " + e);
return;
} finally {
System.out.println("finally 영역");
}
System.out.println("for 문의 끝 " + i + "번째");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xceptionEx7 ref = new ExceptionEx7();
ref.program();
System.out.println("프로그램 끝!");
}
}
e등호를 빼면 array ~ 발생 e->에는 .toString이 생략되어있다
지금 상황에서는 return을 해도 finally가 실행된다.
<결과>
for문의 시작 0번째
0
finally 영역
for 문의 끝 0번째
for문의 시작 1번째
0
finally 영역
for 문의 끝 1번째
for문의 시작 2번째
0
finally 영역
for 문의 끝 2번째
프로그램 끝!
7. Exception 클래스의 주요 메서드
e.toString()으로 찍었을 때
e.getMessage() 해도 찍힘 // 이유만 나옴
e.printStackTrace() ->얘는 자체가 프린트 포함
8. throws 예약어 : 예외전가
package jun.java.exam12;
public class ExceptionEx8 {
private static void test() throws Exception{
System.out.println(6/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test(); // try catch문으로 예외처리 해야 한다.
} catch (Exception e){
System.out.println("예외 발생");
}
}
}
<결과>
예외 발생
9. 사용자 정의 예외
사용자 정의 Exception이 필요한 이유는 표준예외가 발생할 때 예외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거나 정보를 수정하고자 한다면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보안된 예외를 발생시켜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있다.
사용자 정의 Exception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Throwable을 받지 않고 그 하위에 있으면서 보다 많은 기능들로 확장되어 있는 Exception으로부터 상속을 받는 것이 유용하다. 물론 입/출력에 관련된 예외를 작성하기 위해 IOException으로부터 상속을 받는 것이 보편적이다.
① 보안 // 일단 접속하면 무조건 거부, 거부처리 // 소위 방화벽
② 사용자가 쉽고 명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 단언(Assertion)
프로그래머 자신이 전개하고 있는 코드 내용에서 프로그래머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움직임과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의 프로그램상의 설정값들이 일치하고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Assertion이다. 예를 들자면 어느 특정 메소드의 인자 값은 10이상이어야 한다는 프로그래머의 확고함이 있다고 하자. 이럴 때 Assertion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머가 주장하는 확고함을 조건으로 명시하고 그 조건을 만족할 때만 코드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단언이다.
□ 단언과 예외(Exception)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예외(Exception)는 특정한 코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므로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프로그램 종료와 같은 1차적인 손실을 막고 예외에 대한 처리로 인해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하지만 단언은 어떤 결과를 위해 특정 코드나 변수의 값을 프로그래머가 예상하는 값이어야 하는 것을 검증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 단언의 문법
- assert [boolean식];
[boolean식]은 항상 true 아니면 false인 boolean형의 결과를 가지는 표현식이 되어야 한다. 만약 boolean식의 결과가 false일 경우에는 AssertionError가 발생하여 수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 assert [boolean식] : [표현식];
[boolean식]의 결과값이 false일 경우에 [표현식]을 수행한다. 여기에는 일반값일 수도 있고. 특정 메소드를 호출하여 받은 반환 값일 수도 있다. [표현식]에는 문자열로 변환이 가능한 값이 무조건 와야 한다.
□ 간단한 예문
- assert var > 10;
- assert var < 10;
- assert str.equals("");
- assert str != null; "str에 null값이 들어오면 안 됨!";
□ 컴파일 및 실행법
1. 실행할 때 다음과 같이 옵션을 주면서 실행해야 한다.
java -ea [클래스명]
2. -ea : Enable Assertion라고 해서 단언기능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옵션이다.
3. -da : Disable Assertion라고 해서 ea의 반대 옵션이다.
package jun.java.exam13;
import static java.lang.System.out;
public class AssertEx {
public void gugu(int dan) {
assert dan >1 && dan < 10 : "2~9단중 하나를 입력하세요";
out.println(dan + "단");
out.println("--------------");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for(int i=0; i<9; i++) {
sb.delete(0, sb.length());
sb.append(dan); sb.append("*"); sb.append(i+1);
sb.append("="); sb.append(dan*(i+1));
out.println(sb.toString());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ssertEx at = new AssertEx();
try {
int dan = Integer.parseInt(args[0]);
at.gugu(dan);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이클립스에서는 티가 나지 않는다.
'IT&코딩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 16일차 (Event) - X (0) | 2022.11.03 |
---|---|
Java - 15일차 (컬렉션과 제네릭) (0) | 2022.11.03 |
Java - 13일차 (알아두면 유용한 클래스) (2) | 2022.10.29 |
Java - 12일차 (이너클래스와 열거형) (0) | 2022.10.28 |
Java - 11일차 (추상클래스와 인터페이스)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