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간단한 브레인스토밍]
Model : Service + DAO(Data Access Object)
Controller(제어) : Servlet
View : jsp
Mapper 방식 / 레거시와 부트 /
AJAX
XMLHttpRequest();
<STS3>
설치 후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aven Dependencies : jar 같은 외부파일 관리.
스프링은 간접적으로 파일을 다운받는다.
위와 같은 곳에서 파일 찾고 코드를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Maven, Gradle 이 제일 많이 사용
이와 연관된 파일이 pom.xml
JSON : Key랑 Value가 한 쌍이다.
web-app의 view 밑에다 jsp를 준다. (jsp 때와의 차이점)
recource 폴더엔 css, 메모장, 등의 정적파일을 둔다.
■ STS 관련 설정
Spring Legacy Project 생성 후에 web.xml에 한글처리
pom.xml에서 강의환경에 맞게 버전 설정하기.
자바 버전을 1.8로 설정
servlet - api 버전 3.1.0으로 설정
728x90
반응형
'IT&코딩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 6일차 (mvc_quiz) (0) | 2022.12.19 |
---|---|
Spring - 5일차 (MVC2 모델 실습) (0) | 2022.12.15 |
Spring - 4일차 (MVC2 모델 이론) (0) | 2022.12.15 |
Spring - 3일차 (MVC_2) (0) | 2022.12.12 |
Spring - 2일차 (MVC_1) (0) | 2022.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