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코딩/JSP

(12)
JSP - 4일차 (자바스크립트) ■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객체(object)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HTML로는 웹의 내용을 작성하고, CSS로는 웹을 디자인하며, 자바스크립트로는 웹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주로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나, Node.js와 같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 서버 측 프로그래밍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립트 언어란? -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쓰이는 언어이다. □ 자바스크립트 특징 자바스크립트가 가지고 있는 언어적 특징 1.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다. 2.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이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다. 3.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
JSP - 3일차 (CSS) ■ CSS (Cascading Style Sheets) CSS는 HTML 등으로 작성된 문서의 표시 방법을 기술하기 위한 스타일 시트 언어이다. HTML로는 웹 사이트의 내용을 나열하고 CSS로는 웹 문서의 디자인을 구성한다. 이렇게 내용과 디자인이 구분되어 있으면 사이트의 내용을 수정할 때에도 디자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아 편리하다. 또한 반대로 내용은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스타일 시트를 이용해 디자인만 바꿔서 완전히 다른 느낌이 나는 문서로 만들 수 있다. □ 인라인과 내부 스타일 시트 웹 문서 안에서 사용할 스타일을 같은 문서 안에 정리한 것을 내부 스타일시트라고 한다. 스타일 정보는 웹 문서를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하기 전에 결정해야 하므로 모든 스타일 정보는 태그 안에서 정의하고, 태그 사이..
JSP - 2일차 (HTML) ■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 하이퍼텍스트(Hyper Text)란 문서를 서로 연결해주는 링크를 의미한다. Markup : 표시하다. 웹 브라우저에 내용을 보여주는 텍스트, 이미지 등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 태그의 기본 형식은 문서의내용 여는태그 닫는태크 ■ HTML 태그 문자 세트를 비롯해 문서정보가 들어있는 태그 흔히 메타정보라고 하면 '데이터에 관란 데이터'를 말한다. 태그는 웹 브라우저에는 보이지 않지만 웹 문서와 관련된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한다. 태그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화면에 글자를 표시할 때 어떤 인코딩을 사용할지 지정하는 것이다. 웹 서버는 영어가 기본이므로 화면에 한글로 된 내용을 표시할 때에는 UTF-8이라는 문자세트를 사용한다고 알려줘야 ..
JSP - 1일차 (웹 프로그래밍이란?) ■ 웹 프로그래밍이란? 웹 프로그래밍이란,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행위 웹 어플리케이션이란 웹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프로그램 웹이란 1개 이상의 사이트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서비스의 형태이다. 인터넷이란 1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웹 페이지를 찾기 위한 주소) □ 프로토콜 : 네트워크상에서 약속한 통신규약 (HTTP, FTP, SMTP, PDP, DFCP) - FTP :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 - SMTP : 서버 간 이메일 송수신 - POP : 이메일 수신 및 보관 - DHCP :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관리 □ IP 주소 : 네트워크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