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코딩/국비지원

CSS - 1

728x90
반응형

■ CSS 이론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
		css : cascading style sheet
		css 3 
	
		MVC 모델(Model View Controller)
		ㄴ html css javascript
	
		css 주석 : /* */ (ctrl + shift + /)
		
		[사용법]
		1) <style></style> 직접 코딩해서 쓰는 방식
		2) html에서는 style= html에서 코딩하는 방식
		3) 외부에 만들어놓고 호출해서 사용 (MVC 모델)
		<link rel="stylesheet" .......href="aa.css">
			  relation
		
		(cf) 자바스크립트에서 외부에 만들어놓고 갖다쓰는 것
			<script>     http:주소............</script>
			<script>	 url주소              </script>
		
		[css 코딩법]
		
		selector(선택자) {속성:값; 속성:값;}
		
		예) h1{color:pink;}
	-->
	
</body>
</html>

 

□ 예제 1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body{background-color:#ffff00;} /* rgb 빛의 삼원색에서 yellow */
	
	h1{
		color:red;
		text-align:center;
		text-decoration:underline;
	} /* html공간에 놓고 ctrl + shift + / 누르면 지금 주석모양이 생기고 */
	  /* overline(윗줄), line-through(취소선) */
	  
	  
	p{
		color:blue;
		font-size:30pt; /* point (dpi) */
	}
	
	.redred{
		color:red;
	}
	
	#mymy{
		color:cyan;text-decoration:underline;
	}
	
	.aa{
		color:blue;
		font-size:50px;
	}
	
	#aa{
		color:blue;
		font-size:50px;
	}
	
</style>

</head>

<body>
	<!-- html공간에 놓고 ctrl + shift + / 누르면 지금 주석모양이 나오고 -->

	<h1>나는 무슨색?</h1> <!-- 가운데 정렬-->
	
	<span class="redred">나는 span이야</span><br>
	
	<h4 class="redred">클래스는 뭐지</h4>
	
	<h2>나도 pink인가?</h2>
	
	<h3 style="color:violet;">나는 보라색이야</h3> <!-- html에 직접 디자인한 css -->
	
	<p> 나는 paragraph이고 크기는 30 </p>
	
	<h2 id="mymy">나는 h2 태그야</h2>
	
	<div id="aa">뭐야 나 글씨 커지는 건가</div> <!-- class랑 id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 하지만 가능한 class를 권장 -->
	
	<!-- save UTF-8 -->
	
</body>
</html>

 

 

□ 예제2 (cssLink)

 

css 파일은 다음과 같다.

 

@charset "EUC-KR";

/* css만 입력 */

h1{color:yellow;}
p{color:blue; font-size:30pt;}
.redred{color:magenta;}
#myid{color:green; font-size:20pt;}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 --------------------------------  -->

<link rel="stylesheet" href="jeoki.css"><!-- jeoki.css 파일을 import -->


<!-- --------------------------------  -->

</head>
<body>
	<!--
		css(aa.css)를 외부에 만들어놓고 갖다가 쓴다.
		link 태그를 사용
	-->
	
	<!-- 
		여러가지 color 표현방식
		#ffff00 (R255 g255 b00) ==> yellow ==> rgb(255, 255, 0) 
		#ff8040 (R255 g약간진한녹색 b00아주연한파랑) ==> yellow ==> rgb(255, 255, 0)   
	-->
	
	<!--
		webapp - 마우스우클릭 - new - (file) - css - jeoki.css   
	-->
	
	<h1>나는 노란색 같아</h1>
	<p>나는 파랑글씨이고 글씨가 큰 거 같아</p>
	<div class="redred">오늘은 웹하면서 수지맞는 수요일</div>
	<div id="myid">나는 무슨색?</div>
	
	<!--
	 
		(참고) import 할 때 library, framework의 혼동문제
		
		jQuery : javascript를 재편성하여 줄여서 작성한 것 (자체적으로 javascript framework)
		==> framework : 주도권이 어디에 있느냐, 즉, 프로그램 작성시 해당 내용에
		맞추어서 해야 한다면 framework, 선택이 가능하면 library
		
		library : jQuery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beautiful soup
		
		framework : spring, django, android, vue.js
		
	-->
	
</body>
</html>

 

 

□ css_shadow (그림자) 1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font-family:"Comic Sans MS", 바탕체} /* 글꼴의 집합, Comic Sans MS가 없으면 바탕체로 넘어간다. */
	
	.krimja1{
		color:#FF0000;
		text-shadow:3px 3px 5px #777777;
		/* 글자 그림자 x쪽 y쪽 blur(번짐) 그림자색 */
		}
	
	p{
		font-size:돋움, 바탕;
		font-size:70px;
	}
	
	div{
		font-size:50px;
		width:10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FFFF00;
		box-shadow:10px 10px 3px #0000FF;
		/* 글자 그림자 x쪽 y쪽 blur(번짐) 그림자색 */
	}
	
</style>

</head>
<body>
	
	<p><span class="krimja1">글씨에 그림자 한번 넣어볼까</span></p>
	<!-- 박스에 그림자를 넣으려면 div태그 사용하면 되겠구나-->
	
	<div>박스에 그림자를 한번 넣어보자</div>
	
	<!-- 이번에는 글씨와 박스 둘다 그림자 넣어보자 -->
	<h2>span으로 글씨그림자, div로 박스그림자</h2>
	<div><span class="krimja1">둘 다 넣어보자</span></div>
	
</body>
</html>

 

 

□ css_shadow (그림자) 2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font-family:"Comic Sans MS", 바탕체}
	
	h1{
		color:red;
		font-family:Serif, 돋움, 바탕, Sans-serif;
		border:3px dotted blue; /* 경계선두께 경계선디자인 경계선색 */
		/*  dotted(점선) 
			dashed(긴점선) 
			double(이중실선)
			groove(파임, 테두리가 음각형태)
			ridge(불록하게, 테두리가 양각형태)  
			inset(전체가 안으로 쑥 들어간 것처럼, 박스의 경우 위쪽 부분이 어둡게) 
			outset(전체가 바깥으로 돌출된 것처럼, 박스의 경우 아래쪽 부분이 어둡게) 
			solid(실선) 
		*/
		margin:20px;
		padding:100px; /* 상 우 하 좌 간격 */
		text-shadow:7px 5px 3px #FFFF00;
	}
	
	h2{
		color:red;
		font-family:Serif, 돋움, 바탕, Sans-serif;
		border:3px dotted blue; /* 경계선두께 경계선디자인 경계선색 */
		border-radius:20px;
		text-shadow:5px 3px 5px #FFFF00;
	}
	
	div{
	
	}
	
</style>

</head>
<body>
	
	<h1>어떤 글꼴</h1>
	<!-- 
		html 문장에 css를 넣어서
		font-weight:글씨 굵기
		(normal : 400 / bold : 700 / 가중치 : border(800), lighter(600)
	-->
	
	<div style="font-weight:500;font-size:50px;">
		나야 500정도만
		<div style="font-weight:bolder; font-style:italic">잘 먹겠습니다.</div>
		<div style="font-weight:lighter; font-style:italic">가볍게 라면만.</div>
	</div>
		
	<h2 style="text-align:right;">둥근 모서리 박스에 글씨들</h2>
	<h2 style="text-align:center;">둥근 모서리 박스에 글씨들</h2>
	<h2 style="text-align:left;">둥근 모서리 박스에 글씨들</h2>
	
	<p style="text-indent:30pt;">[<======== 이만큼 들여쓰기]</p>
	<p style="text-transform:capitalize">babo ondal</p><!-- 첫글자만 대문자 -->
	<p style="text-transform:uppercase">babo ondal</p><!-- 모두 대문자 -->
	<p style="text-transform:lowercase">baBo oNdal</p><!-- 모두 소문자 -->
	
</body>
</html>

 

 

□ 블락 앤 인라인 (block & inline)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disstyle1 ul li{display:inline;} 
	/* (가로배치, width & height 사용불가, margin & padding 사용가능하지만 좌우간격만 가능) */
	
	.disstyle2 ul li{
		display:inline-block;
		padding:100px;
		margin:100px;
		width:130px;
		height:130px;
		background-color:pink;
	} 
	/* (inline처럼 배치, width & height 가능, margin & padding 상하좌우 가능) */
	
	.disstyle3 ul li{
		display:block;
		padding:10px;
		margin:10px;
		width:130px;
		height:130px;
		background-color:cyan;
	}
	/* (block 배치, width & height 가능, margin & padding 상하좌우 가능) */
	
</style>

</head>
<body>

	<!--
		배치의 3가지
		
		block : div p
		inline : span, a
		inline-block :  
	-->
	
	<div class="disstyle1"> <!-- 기본 세로배치인데 class 때문에  -->
		<ul>
			<li><a href="#">회사소개</a>
			<li><a href="#">CEO인사말</a>
		</ul>
	</div>
	
	<div class="disstyle2"> <!-- 기본 세로배치인데 class 때문에  -->
		<ul>
			<li><a href="#">회사소개2</a>
			<li><a href="#">CEO인사말2</a>
		</ul>
	</div>
	
	<div class="disstyle3">
		<ul>
			<li><a href="#">회사소개3</a>
			<li><a href="#">CEO인사말3</a>
		</ul>
	</div>
	
	<div style="display:none;">
		<ul>
			<li><a href="#">회사소개4</a>
			<li><a href="#">CEO인사말4</a>
		</ul>
	</div>
	
	<!-- 
		미리 만들어 놓고 화면에만 안 보이게 하는 것 
		물건 구입시 배송을 원하십니까? yes
		화면에 없던 배송처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하면서 입력란이 뜨는 경우
	-->
	
	<div style="display:block;">
		<ul>
			<li><a href="#">회사소개5</a>
			<li><a href="#">CEO인사말5</a>
		</ul>
	</div>
	
</body>
</html>

 

 

■ css 포지션

 

어느 도형이나 그림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은 4가지가 있다.

 

1. static : defalut, 이건 안 써도 됨, 좌->우 상->하
2. absolute : 기준점(0,0)
3. relative : 상대적
4. fixed : 스크롤을 해도 일정 위치에 고정

 

□ position - static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margin:0;padding:0;}
	
	#aaa, #bbb{
		width:3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pink;
		
	}
	
	#aaa{position:static;} /* 기본형태 맨위쪽, 맨왼쪽에 들어감 
							top, left, bottom, right 등을 기록했어도 의미가 없다.*/
	#bbb{position:static;}
	
</style>

</head>
<body>
	
	<div id="aaa">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div id="bbb">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body>
</html>

 

 

□ position - absolute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margin:0;padding:0;}
	
	#aaa, #bbb, #ccc{
		width:3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pink;
		
	}
	
	#aaa{position:static;} /* 기본형태 맨위쪽, 맨왼쪽에 들어감 
							top, left, bottom, right 등을 기록했어도 의미가 없다.*/
	#bbb{position:absolute; top:50px; left:50px}
	/* absolute : (0, 0) or (상위 요소로부터의 절대거리) */
	#ccc{position:absolute; top:100px; left:100px}
	
</style>

</head>
<body>

	<div id="aaa">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div id="bbb">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div id="ccc">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body>
</html>

 

 

 

□ position - relative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margin:0;padding:0;}
	
	#aaa, #bbb, #ccc{
		width:3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pink;
		
	}
	
	#aaa{position:static;} /* 기본형태 맨위쪽, 맨왼쪽에 들어감 
							top, left, bottom, right 등을 기록했어도 의미가 없다.*/
	#bbb{position:relative; top:0px; left:300px;}
	/* relative : 상위요소로부터 상대적거리, 원래 있어야 할 자리부터 거리를 계산하여 유지한다. */
	#ccc{position:relative; top:0px; left:600px}
	
</style>

</head>
<body>

	<div id="aaa">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div id="bbb">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div id="ccc">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div>

</body>
</html>

 

 

□ position - fixed

 

'나는 광고'라는 문구는 페이지 스크롤을 내려도 계속 고정된 것처럼 보인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margin:0;padding:0;}
	
	.kwangko{
		position:fixed;
		color:#FFFFFF;
		left:100px;
		background-color:green;
	}
	
	.naeyong{
		color:#FF0000;
		background-color:yellow;
	}
	
</style>

</head>
<body>
	
	<div class="kwangko">######나는 광고1######</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kwangko">######나는 광고2######</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div class="naeyong">나는 원래 내용</div>

</body>
</html>

 

 


 

□ overflow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aa, #bb, #cc, #dd{
		width:300px;
		height:100px;
		background-color:pink;
	}
	
	#aa{
		color:blue;
		overflow:hidden; /* underflow */
		/* hidden : 글자가 overflow가 나면 보여주지마. */
	}
	
	#bb > pre{
		color:red;
		overflow:scroll;
		/* scroll : 글자가 overflow가 나면 scroll이 나온다. */
	}
	
	#cc{
		overflow:visible;
		/* visible : 글자가 overflow가 나면 그래도 보여준다. */
	}
	
	#dd{
		overflow:auto;
		/* visible : 글자가 overflow가 나면 auto 처리.  */
	}
	
</style>

</head>
<body>

<!-- 
	javascript를 줄여서 만든 것 : jQuery (John Resig) < dojo
	Eric Meyer - reset.css
	https://meyerweb.com/eric/tools/css/reset/index.html
	
	@import "reset.css"
	
	.kaja()
-->

<!--
	*{margin:0; padding:0;}
	FF, safari 등 모두 같은 화면이 나오게 하겠다.
-->

	<div id="aa">
		<pre>
		hidden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아 ----------------------------------------------------------다 보여줘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pre>
	</div>
	<p>&nbsp;</p> <!-- 줄바꿈 -->
	
	<div id="bb">
		<pre>
		scroll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pre>
	</div>
	
	<p>&nbsp;</p> <!-- 줄바꿈 -->
	
	<div id="cc">
		<pre>
		visible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아 ~ 그래?
		</pre>
	</div>
	
	<p>&nbsp;</p> <!-- 줄바꿈 -->
	
	<div id="dd">
		<pre>
		auto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pre>
	</div>
	
</body>
</html>

 

 

□ 배경화면 (background) 1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Insert title here</title>
</head>
<body style="background-image:url('kkk.jpg')">

	가장 기본적인 배경화면 넣는 기법
	
</body>
</html>

 

□ 배경화면 (background-full) 2

 

화면의 크기가 변해도 그에 맞게 배경이 조정된다.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EUC-KR">
<title>Insert title here</title>

<style>

/* 
	웹프로그램 : 
		반응형웹(responsive) : display:flex 
		정적인웹(static) 
*/
	html, body{
		height:100%;
		margin:0;
		padding:0;
	}
	
	#aa{
		background-size:cover;
		/* 배경크기 참조하여 이미지를 확대 or 축소, auto는 크기 그대로 
			contain은 배경크기 참조하되 가로세율 비율 맞추어 */
		background-image:url("./krim/kkk.jpg");
		background-position:center; /* resize시 그림 가운데가 보이게 */
		min-height:100%; /* not 100px */
		border:0;
		padding:0;
	}
</style>


</head>
<body>
	<div id="aa"></div> <!-- 여기다가 배경그림을 넣을 예정 -->
</body>
</html>

 

 

728x90
반응형

'IT&코딩 > 국비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 1  (0) 2023.05.16
CSS - 2  (0) 2023.05.12
HTML - 3  (0) 2023.05.11
SQL - 6 (View & Sequence & Index)  (0) 2023.05.09
SQL - 5 (서브쿼리, 제약조건)  (0) 2023.05.07